Cow Korean blackberry Grapefruit Orange Strawberry
Q. 다음 같은 국가에 속한 지명이 아닌 것은?
살라완 찬디가르 뉴델리 벵갈루루 뭄바이
루체른 리스본 브라가 신트라 포르투
시비우 키이우 수미 마리우폴 도네츠크
만달레이 루사카 리빙스턴 치파타 카브웨
수미 쿠칭 팡코르 쿠알라룸푸르 이포
몽스 루세 도브리치 소피아 슬리벤
프롬 콜롬보 자프나 모라투와 니곰보
파스토 그라나다 카디스 빌바오 발렌시아
야운데 아즈만 아부다비 샤르자 두바이
룩셈부르크 잘츠부르크 인스부르크 클라겐푸르트 빈
하데라 하마 다마스쿠스 알레포 다르아
시사크 볼로냐 베로나 시에나 토리노
팡코르 네피도 만달레이 메르귀 모니와
바기오 비엔티안 보리캄싸이 보케오 앗타프
누르술탄 아덴 이브 타이즈 알무칼라
아라드 마슈하드 야즈드 테헤란 콤
오시예크 산호세 알라후엘라 카르타고 푼타레나스
쿠스코 보고타 페레이라 부카라망가 카르타헤나
조스 프라이벤토스 메르세데스 미나스 살토
카디스 자다르 시사크 스플리트 리예카
브루게 말뫼 스톡홀름 웁살라 키루나
클루지나포카 모스크바 예카테린부르크 노보시비리스크 니즈니노브고로드
쿠알라룸푸르 쿠팡 반둥 스마랑 폰티아낙
툰호 아비뇽 투르 칸 릴
수라바야 마닐라 일로일로 세부 앙헬레스
휴스턴 노팅엄 런던 리즈 요크
타이즈 우랄 타라즈 알마티 아티라우
카르타고 나망칸 부하라 안디잔 테르메스
코르도바 즈레냐닌 프리즈렌 베오그라드 노비파자르
다르아 텔아비브 하데라 아슈도드 예루살렘
타우랑가 레온 라파스 맥시코시티 티후아나
헬싱보리 드람멘 나르비크 오슬로 트롬쇠
마사틀란 탈라라 피우라 이카 치클라요
키토 민스크 오르샤 브레스트 고멜
몽스 브르노 프라하 오스트라바 리베레츠
클루지나포카 아라드 시비우 브라쇼프 부쿠레슈티
헤이그 란데르스 오덴세 코펜하겐 콜딩
킹스턴 해밀턴 타우랑가 오클랜드 넬슨
치와와 선더베이 오타와 킹스턴 해밀턴
브라쇼프 바스토뉴 브루게 브뤼셀 루뱅
이비 수니아니 아크라 엘미나 위네바
파스토 산티아고 아리카 콘셉시온 랑카과
하레르 몸바사 키수무 말린디 엘도레트
치파타 다르에스살람 도도마 키고마 타보라
엘미나 세시스 리가 벤츠필스 시굴다
보리캄싸이 치앙마이 방콕 나콘빠톰 핏사눌록
살라완 부에노스아이레스 멘도사 살타 산후안
수미 바투미 수후미 고리 포티
브리즈번 뉴욕 잭슨빌 휴스턴 콜럼버스
암바토 초이발산 울란바토르 사인샨다 다르한
폰티아낙 미슈콜츠 부다페스트 쇼프론 솜버트헤이
카르타고 더반 이스트런던 킴벌리 요하네스버그
헤이그 흐로닝언 아선 베른 암스테르담
짐바브웨 마푸투 베이라 테테 이냠바느
슬리벤 데니즐리 이스탄불 카이세리 삼순
브라이턴 뉴캐슬 멜버른 캔버라 시드니
포르투 상파울루 쿠리치바 헤시페 포르투알레그레
브라쇼프 볼로스 코자니 트리폴리 이오안니나
코르도바 제네바 장크트모리츠 취리히 인터라켄
오루로 쿠르카 네팔간지 카트만두 랄릿푸르
베로나 오시예크 리예카 두브로브르크 자다르
가오슝 베이징 광저우 허베이 지린
키토 아부자 조스 카노 쿠모
테마 포트사이드 탄타 알렉산드리아 시와
콩퐁솜 다낭 호치민 룽쑤옌 냐짱
라바트 라파스 산타크루스 트리니다드 코차밤바
브뤼셀 아헨 하노버 뮌헨 드레스덴
오루로 과야킬 리오밤바 마찰라 이바라
Q.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로 전해지는 이 고전소설의 이름은?
홍길동전 박씨부인전 춘향전 심청전 금방울전
Q. OO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
자라 생쥐 거미 개미 바퀴
Q. 수컷사자와 암컷호랑이를 합친 이 동물의 이름은?
라이거 레오 레온 타이온 라거
Q. 부실한 은행에 불안감을 느껴서 고객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인출사태인 이 용어는?
뱅크런 오픈런 빤스런 머니런 매스런
Q. 돼지의 '등겹살'이며 목심과 등심의 연결부위에 있는 사람 손바닥만한 오각형 모양의 살코기 부위는?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가브리살 오각살 안창살 살치살 갈비살
Q. 빗살무늬토기는 어느 시대의 유물인가?
신석기 구석기 답 없음 청동기 철기
Q. 조선시대에 '갑비고차'라고 불리던 지역은 어디인가?
강화도 울릉도 제주도 안면도 대부도
Q. 순결, 변함없는 사랑의 꽃말을 가진 꽃은?
백합 해바라기 장미 국화 튤립
Q. 물티슈의 영어표기로 알맞은 것은?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wet tissue water tissue hand tissue wash tissue aqua tissue
Q. e-mail의 e는 무슨 약자인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electronic eternal exciting extend explorer
Q. 뮤지컬,음악회,오페라 등의 공연이 끝난 후 관객이 박수를 보내 배우들을 다시 무대로 부르는 것은?
커튼콜 앵콜 필리버스터콜 버스터콜 맥콜
Q. 아이스하키에서 사용하는 공의 이름은?
퍽 헉 컥 턱 척
Q. 세미콜론이라고 불리는 문장 부호는 무엇인가?
; " ' / _
Q.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를 포함하여 나오는 인물은 총 몇 명인가?
13 14 15 16 17
Q. 2001년 세계 최초로 안락사를 합법화한 나라는?
네덜란드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웨덴
Q. "오감"이라 불리는 5가지 감각이 아닌 것은?
킬각 시각 청각 후각 미각
Q. OO이(가)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OO에 들어갈 말은?
사촌 철수 삼촌 형제 친구
Q. 전래동화 콩쥐팥쥐에서 밑 빠진 독을 막아준 동물은?
두꺼비 청개구리 황소개구리 쥐 두터비
Q. 5월 5일 어린이날을 만든 인물은?
방정환 방시혁 방준혁 방민아 방만덕
Q. 우체국 로고에 있는 새는 무엇인가요?
제비 까마귀 비둘기 까치 독수리
Q. 쉘 실버스타인의 동화인 "아낌없이 주는 나무"의 나무는?
사과나무 가시나무 포도나무 수박나무 호구나무
Q. 처음 입력된 정보가 나중에 습득하는 정보보다 더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효과
초두효과 나비효과 빈발효과 노출효과 신근효과
Q. 손가락의 명칭에서 새끼손가락을 부르는 말은?
소지 약지 강지 대지 중지
Q.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은?
목성 화성 수성 금성 토성
Q. 다음 중 뿌리식물(채소)이 아닌 것은?
땅콩 감자 우엉 생강 두리안
Q. 5천원권 지폐에 있는 과일은?
수박 포도 배 복숭아 사과
Q. 김을 세는 단위를 톳이라고 합니다. 한톳은 몇장인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100 1 10 20 50
Q. 견우와 직녀가 칠월 칠석에 건넜던 다리의 이름은?
오작교 금천교 영제교 옥천교 천마신교
Q.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 잠입하여 역전에서 러시아군의 군례를 받는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인물은?
안중근 윤봉길 김두한 박용만 안창호
Q. 일본 제국의 초대 내각총리대신이며 조선통감부의 통감을 역임한 인물은?
이토 히로부미 일토 히로부미 삼토 히로부미 일기토 히로부미 오토 히로부미
Q.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은?
3.1 운동 브나로드 운동 아나바다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5.18 민주화 운동
3.1 운동 4.1 운동 5.1 운동 6.1 운동 7.1 운동
Q. 조선 말기에 시행되었던 경제 정책 가운데 하나로서, 식량난 해소를 위해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명령은?
방곡령 방방곡곡령 방콕령 고령 중령
Q.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한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으로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한 것은?
독립문 고립문 사립문 공립문 국립문
Q. 1909년 초, 안중근은 뜻이 같은 동지 11인과 함께 동의단지회를 결성하고 의병으로 재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때 왼쪽 손의 약손가락(넷째 손가락) 한 마디를 끊어 결의를 다진 인물은?
안중근 윤봉길 안창호 김옥균 전봉준
Q. 1876년 2월 강화도에서 맺어진 불평등 조약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강화도 조약 을사조약 다자간조약 한성조약 난민 조약
Q. 1931년 10월 백범 김구 선생님이 만든 단체 이름은?
한인 애국단 두인 애국단 삼인 애국단 사인 애국단 오인 애국단
Q.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정책백서이자 최초의 헌법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국왕이 우리나라의 자주독립을 처음으로 내외에 선포한 문서는?
홍범14조 청범14조 백범14조 흑범14조 표범14조
Q. 천황을 제거할 계획을 모의하여 1932년 일본에 건너가 도쿄의 경시청 사쿠라다 문 앞에서 쇼와 덴노를 폭탄으로 저격하려 하였으나 실패한 인물은?
이봉창 김두환 이화영 최제우 홍경래
Q. 이화학당 고등부 1학년이었던 3.1 운동과 관계 깊은 인물은?
유관순 김옥균 박규수 김원봉 곽재우
Q. 1896년 11월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으며, 그 옆에 있던 모화관을 독립관으로 개칭한 단체는?
독립협회 육회 참치회 고등어회 활어회
Q. 1895년 10월 8일 경복궁에서 명성황후 민 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 등에게 암살된 사건은?
을미사변 갑미사변 병미사변 정미사변 무미사변
Q.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은?
아관파천 어관파천 오관파천 우관파천 이관파천
Q. 아관파천 사건 때 고종이 이동한 지역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러시아 일본 중국 미국 없음
Q.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광무개혁 등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일본제국에 의하여 멸망한 국가는?
대한제국 고조선 고구려 고려 대한민국
Q.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은?
단발령 다발령 꽃다발령 한발령 두발령
Q.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1919.4.11 1919.5.1 1919.6.1 1919.7.1 1919.3.1
Q. 조선을 병합한 일본 제국의 식민지 교육정책은?
조선교육령 한국교육령 중국교육령 미국교육령 러시아교육령
Q. 1929년 식민지 교육 반대를 내세우며 광주에서 일어난 운동은?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서울 학생 독립 운동 대구 학생 항일 운동 부산 학생 독립 운동 대전 학생 독립 운동
Q. 1904년 결성된 단체로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한 단체는?
보안회 숭어회 활어회 동호회 산악회
Q.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 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은?
갑신정변 을신정변 병신정변 정신정변 무신정변
Q.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김동삼, 오동진 등과 3대 맹장(猛將)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에 의해 피살당한 인물은?
김좌진 김두한 신마적 시라소니 구마적
Q. 1920년 일제는 만주의 관동군에 조선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병력까지 합류시킨 대규모 정규군을 간도로 보내, 독립군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그 지방에 살고 있던 무고한 한국인을 대량으로 학살한 사건은?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간도 참변 제암리 학살사건 거문도 사건 헤이그 특사 사건 우키시마호 사건
Q. 1920년 일본군이 봉오동을 공격해 오자, 3일간의 봉오동 전투에서 120명을 사살하고 최대의 전과를 올린 인물은?
홍범도 전봉준 김봉준 방정환 박상진
Q. 봉오동 전투가 일어난 지역은?
만주 서울 대구 대전 부산
Q. 1907년 고종이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가 소집하는 제2회 만국 평화 회의에 을사늑약이 불평등 조약임을 알리기 위해 파견한 특사는?
헤이그 특사 헤이트 특사 헤어 특사 헤이 특사 헤임달 특사
Q. 1907년 고종은 네덜란드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여 대한제국 황제의 뜻에 반하여 일본제국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파기하고자 했던 늑약은?
을사늑약 갑사늑약 병사늑약 정사늑약 무사늑약
Q.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강제로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한 조약은?
을사늑약 갑사늑약 병사늑약 정사늑약 무사늑약
Q. 을지문덕, 최영, 이순신 3대 영웅전을 썼고, 무력의 중요성을 주장했고, 영웅이 나와서 이 나라를 구하는 데에 적극적인 도움을 줘야 한다고 주장한 인물은?
신채호 방정환 박두식 권중현 유관순
Q. 저서 《조선상고사》에서 특히 역사관을 낭가 사상과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본 인물은?
신채호 임병찬 김두한 박영효 김구
Q. 1884년 12월 4일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 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에 관련된 인물은?
김옥균 이준 이완용 이은석 유관순
Q. 1871년 6월 1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다. 제너럴 셔먼 호 사건의 책임과 통상 교섭을 명분으로 조선의 주요 수로였던 강화도와 김포 사이의 강화해협을 거슬러 올라왔고 조선 측의 거부를 무시하고 무력으로 탐침을 시도하여 교전이 일어난 사건은?
신미양요 유미양용 술미양요 해미양요 자미양용
Q. 1866년 음력 7월 12일 평양 군민들이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를 응징하여 불에 태워버린 사건은?
셔먼호 사건 우키시마호 사건 기유각서 운요호 사건 주우소습격 사건
Q.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정책을 말하며, 정치·외교·통상에서는 이윤의 확보나 자기 방위 및 국제적 고립 상태의 유지가 불가피할 때 외국인의 입국이나 무역을 통제하는 정책은?
쇄국정책 쇄밥정책 쇄반찬정책 쇄골정책 1쇄정책
Q. 병인양요는 1866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은?
병인양요 갑인양요 을인양요 정인양요 무인양요
Q. 4월 29일 이른바 천장절 겸 전승축하 기념식에 폭탄을 투척한 인물은?
윤봉길 김옥균 김홍집 전봉준 김구
Q. 1945년 8월 24일, 한국인 피징용자를 태운 일본 해군 수송선 우키시마마루호가 원인 모르는 폭발사고로 침몰한 사건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우키시마호 사건 거문도 사건 셔먼호 사건 운요호 사건 동척폭탄 사건
Q. 시모노세키 조약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 시에서 열린 청일전쟁의 강화 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4월 17일 일본제국의 이토 히로부미와 청나라의 이홍장 사이에서 체결된 조약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시모노세키 조약 강화도 조약 부전 조약 계해 조약 약식 조약
Q. 조선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서양인을 배척하기 위하여 종로 네거리를 위시한 전국 교통 요충지 200여 개소에 세운 비석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척화비 고비 굴비 수비 유비
Q.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와 정미칠조약 강제 체결, 군대 해산 등을 계기로 1907~1910년 사이 발생한 항일구국적 근대 의병 봉기는?
을미의병 무미의병 정미의병 기미의병 경미의병
Q. 김광제, 서상돈 등이 제안한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 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은?
국채보상 운동 아나바다 운동 물산장려운동 신토불이 운동 브나로드 운동
Q.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의 체결을 찬성했던 을사오적에 해당되는 인물은?
이완용 이종학 신채호 최상오 황경오
Q. 일본 제국이 1910년 8월 29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은?
조선총독부 통감부 경무총감부 동양척식주식회사 내무부
Q.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 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한 인물은?
지청천 김구 김좌진 이완용 김두한
Q. 제2차 세계대전이 다 끝나갈 무렵 1945년 미국은 일본에 두 개의 원자폭탄을 투하했는데, 8월 6일에 한 개의 원자폭탄을 떨어뜨렸고 8월 9일에 나머지 한 개의 원자폭탄을 떨어뜨렸는데 이 두 지역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히로시마, 나가사키 오사카, 도쿄 도쿄, 나고야 센다이, 삿포로 삿포로, 오사카
Q. 태극기 네 모서리의 이름이 아닌 것은?
한 건 곤 감 리
Q. 상동 감리교회 부설 공옥 학교의 교사들과 상동 감리교회 담임목사였던 전덕기 목사를 중심으로 기독교 이념을 바탕으로 조직된 민족 운동을 위한 개신교 감리교회 및 장로교회 지원을 받은 항일 비밀결사단체는?
신민회 광어회 활어회 육회 기회
Q. 일제강점기 오산학교 교장, 민족대표 33인 기독교 대표, 동아일보사 사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교육가는?
이승훈 이완용 홍범도 김구 김좌진
Q.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은 일시적으로 군정을 실시한 함경도 등의 지역에서 헌병에게 고등 경찰과 보통 경찰의 임무를 함께 담당한 제도는?
헌병 경찰 제도 술병 경찰 제도 양주병 경찰 제도 소주병 경찰 제도 새병 경찰 제도
Q. 1868년 대한제국 고종 5년 상인이자 학자인 독일인 에른스트 오페르트가 충청도 덕산에 있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은?
오페르트 도굴사건 육페르트 도굴사건 칠페르트 도굴사건 팔페르트 도굴사건 구페르트 도굴사건
Q. 임오군란으로 인해 명성황후는 어느 나라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는가?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청 일본 미국 러시아 북한
Q.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는?
고종 연산군 순종 흥선대원군 이승만
Q. 1882년 8월 30일 임오군란의 사후 처리를 위해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은?
제물포조약 강화도조약 텐진조약 시노모세키조약 중국조약
Q.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 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은?
임오군란 임이군란 임삼군란 임사군란 임육군란
Q. 기유각서는 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인해 박탈된 것은?
사법권, 감옥사무 오법권, 감옥사무 육법권, 감옥사무 칠법권, 감옥사무 팔법권, 감옥사무
Q.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체결 이전까지의 〈조선 통신사〉에서 조선과 일본의 관계가 바뀌면서 바꾸어 부르기 시작한 외교사절 명칭은?
수신사 발신사 신사 신발사 부재사
Q. 1911년에 단순한 모금활동에 불과한 안명근의 체포 사건을 1910년의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암살 미수 사건으로 조작하여 그 빌미로 양기탁, 이동녕, 이동휘, 윤치호, 전덕기 등 신민회 간부 및 기독교 지도자와 교육자들을 대거 투옥한 사건은?
105인 사건 102인 사건 103인 사건 104인 사건 106인 사건
Q. 대한제국 말기에 교육과 산업 등을 통해 국민의 실력을 키워 침탈당한 권리를 되찾고 독립을 보전해 가고자 한 한 사회 운동은?
애국계몽운동 3.1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아나바다운동 일본 불매운동
Q. 대한제국 제2대이자 마지막 황제는?
순종 흥선대원군 고종 이승만 최규하
Q. 1860년 최제우가 창건한 신흥 종교이며 이후 손병희에 의해 천도교로 계승되어 발전한 것은?
동학 서학 남학 북학 남동학
Q.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어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농민군이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농민군 해산과 진압의 원인이 된 전투는?
우금치 전투 시금치 전투 하금치 전투 좌금치 전투 상금치 전투
Q. 193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의 우승 사실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삭제한 사건은?
일장기 말소 사건 이장기 말소 사건 삼장기 말소 삭너 사장기 말소 사건 오장기 말소 사건
Q. 일본의 영향으로 만든 관청을 중심으로 조선은 제1차 갑오개혁을 추진한 이 관청은?
군국기무처 뼈국기무처 곰국기무처 영국기무처 미국기무처
Q. 다음 인물들 중 호와 이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열사 - 이완용 백범 - 김구 단재 - 신채호 도산 - 안창호 백야 - 김좌진
Q. 1927년 2월 15일에 사회주의, 민족주의 세력들이 결집해서 창립한 항일단체로, 1931년 5월까지 지속한 한국의 좌우합작 독립운동단체는?
신간회 의열단 삼별초 신민회 조선총독부
Q. 일본 제국의 조선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 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으로 이른바 내선일체의 슬로건을 내세워 이러한 움직임을 강화하려 한 정책은?
민족말살정책 민족소살정책 민족닭살정책 민족꿩살정책 민족쥐살정책
Q. 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사법권과 감옥 사무(교도행정)에 관한 업무를 일본에게 넘겨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조약은?
기유각서 우유각서 유유각서 히융각서 히웅각서
Q. 1929년 5월 만주 길림시 우마행호동 거리의 국민부 사무소에서 항일투쟁의 지도자들이 모인 가운데, 남만주 일대의 유일 혁명군 정부인 국민부의 정규군으로 편성되었으며 이후 국민부를 지지, 육성하기 위해 조직된 조선혁명당 산하로 이관된 단체는?
조선혁명군 고려혁명군 백제혁명군 신라혁명군 고구려혁명군
Q. 조선시대 후기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으로 한국 역사상 최초의 우체국은?
우정국 사랑국 배신국 화난국 삐진국
Q.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총연장 27 km의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으로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인 기록상 최초의 철도로, 1897년 3월 22일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기공하여 1899년 9월 18일에 일부 구간이 개통된 노선은? [ 이름이 제일 긴 것을 누르면 정답 ]
경인선 수선 재선 당선 기선
Q. 에디슨 전기회사는 건청궁 앞에 있는 연못의 물을 끌어들여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를 지었다.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한국의 전기 발상지'라고 새긴 표지석을 세운 이 곳은?
경복궁 중복궁 용궁 말복궁 초복궁
Q.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으로 발간자는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이 중심이 되어, 독립협회의 기관지로 발간된 신문은?
독립신문 국립신문 사립신문 공립신문 기립신문
Q. 1896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을 발간하였고 그해 7월 독립 협회를 설립한 인물은?
서재필 안창호 신채호 윤봉길 이봉창
Q.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1933년에 ㅇㅇㅇ 학회에서 정한 한글 맞춤법이다. 이 맞춤법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서 쓰는 맞춤법의 바탕이 되는데 이 학회의 이름은?
조선어 학회 한국어 학회 통일어 학회 고조선어 학회 맞춤법 학회
Q. 1905년부터 1909년까지 일제의 주도로 대한제국 내의 백동화와 엽전을 정리하고 상업은행인 일본 제일은행이 발행한 화폐로 대체한 것을 말하는데 이 결과로 대한제국의 화폐에 대한 일체의 지배권은 일본 제국에 의해 금융 지배를 받게 된 사업은?
화폐정리사업 금전통일사업 동전통일사업 엽전통일사업 지폐통일사업
Q. 조선 말기인 1883년 10월 31일 창설된 순간 신문으로, 한국인이 발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 하나 일종의 관보인 이 신문은?
한성순보 신속순보 이성순보 삼성순보 사성순보
Q. 러시아와의 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중립을 주장하는 한국을 세력권에 넣기 위해 1904년 1월 대한제국 황성을 공격하여 황궁을 점령한 뒤 같은 해 2월 23일 강제로 체결한 조약은?
한일의정서 마일의정서 영일의정서 두일의정서 삼일의정서
Q. 일본 제국이 을사조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은?
통감부 육감부 오감부 사감부 삼감부
Q.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단체는?
일진회 이진회 삼진회 사진회 오진회
Q. 1907년 일제 통감부가 언론을 통제하기 위해 제정한 언론 통제법은?
신문지법 가물치법 오이지법 이지법 고지법
Q. 일제가 조선을 일본의 식량 공급지로 만들기 위해 1920년부터 1934년까지 실시한 정책은?
산미증식계획 땅미증식계획 바다미증식계획 하늘미증식계획 중간미증식계획
Q.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은?
조선 토지 조사 사업 고구려 토지 조사 사업 고려 토지 조사 사업 신라 토지 조사 사업 백제 토지 조사 사업
Q. 일본 제국이 중일 전쟁을 일으킨 뒤, 전쟁에 수행하기 위해 한반도 내에서 노동력과 물자 등을 수탈한 뒤 이를 전쟁에 동원하여 수행한 전시 체제의 법령은?
국가총동원법 국가방패동원법 국가활동원법 국가포동원법 국가칼동원법
Q. 한반도가 일본제국으로부터 독립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한 일자는?
8.15 10.1 7.17 3.1 4.11
Q.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며 어린이날의 창시자는?
방정환 유관순 김구 김좌진 한용운
Q.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이루어진 합병조약은?
한일 병합 조약 영일 병합 조약 삼일 병합 조약 사일 병합 조약 오일 병합 조약
Q. 동아일보사는 1931년부터 1934년까지 4회에 걸쳐 전국 규모의 문맹퇴치 운동을 전개했는데 이 운동은?
브나로드 운동 실크로드 운동 로드뷰 운동 이쁘나로드 운동 분할오드 운동
Q. 일반적으로 외교적 협상의 결과에 따른, 해당 지역 법의 관할권에서 면제되는 상태인 법권은?
치외 치핵 치질 치약 치치
Q. 1895년에 명성황후 민 씨가 일본에 의해 암살된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한 유생들이 임금을 위하여 힘쓰고 임금을 위한 의리를 주장한다는 근왕창의를 내걸고 친일 내각의 타도와 일본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일으킨 항일 의병은?
정미의병 갑미의병 병미의병 무미의병 을미의병
Q.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발생한 1895년 8월 하순부터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신이 있었던 1896년 2월 초순까지 김홍집(金弘集)이 추진한 근대적 개혁은?
을미개혁 갑미개혁 병미개혁 정미개혁 무미개혁
Q. 간토 대지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도쿄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삿포로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후쿠오카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오키나와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Q.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외 업무 연락을 위한 지하 비밀 행정조직. 상해 임시정부가 국내외 국민 간에 독립 의지를 상통하고 구국 사업의 완성을 기하며, 내외의 독립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는?
연통제 두통제 치통제 염통제 기통제
Q. 1919년 각 방면의 대표들이 4월 2일 인천 만국공원에 모여 임시정부를 수립, 선포할 것을 결정한 정부는?
한성정부 영성정부 이성정부 삼성정부 사성정부
Q.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은?
2.8 독립 선언 1.8 독립 선언 3.8 독립 선언 4.8 독립 선언 5.8 독립 선언
Q. 1919년 2월 1일 발표된 무오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문창범 등이 중심이 되어 3월 17일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설립한 첫 임시정부는?
대한국민의회 대한국민의술 대한국민의약 대한국민의국 대한국민의밥
Q.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와 동학 농민 운동 당시의 남접의 지도자인 인물은?
전봉준 김옥균 김좌진 최제우 김봉준
Q.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은?
한국 광복군 한국 유복군 한국 한복군 한국 오복군 한국 기복군
Q.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특파원으로 머무르던 영국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은?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주신보 대한매달신보 대한내일신보 대한모레신보
Q. 1883년에 설치되었던 상설 조폐기관은?
전환국 해장국 만둣국 된장국 김칫국
Q. 최초 도안자는 고종이며 흰 바탕의 기 위에 짙은 적색과 남색의 태극 문양을 가운데에 두고 검은색의 건·곤·감·리 4괘가 네 귀에 둘러싸고 있다. 이 국기의 이름은?
태극기 태국기 대극기 더극기 터극기
Q. 조선 정부가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다. 본래 광혜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나, 같은 해 4월 26일 광혜원이라는 명칭은 취소되고 ㅇㅇ원으로 명명된 기관은?
제중원 제상원 제하원 신중원 소중원
Q. 1901년에 설치되었던 구휼기관은?
혜민원 혜민투 혜민쓰리 혜민포 혜민파이브
Q. 1907년 7월 31일 밤,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군대해산을 명하는 조칙을 내려 군대를 해산했다고 알려진 사건이다. 서울의 군대를 시작으로 하여, 8월 1일에서 9월 3일에 걸쳐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된 사건은?
대한제국 군대해산 대한제국 소대해산 대한제국 중대해산 대한제국 대대해산 대한제국 사단해산
Q. 도문강 중한계 무조관, 간도에 관한 일청 협약이라고 하는데, 1909년 9월 4일, 일본제국이 청 제국과 도문강을 한ㆍ청 사이의 국경으로 정하여 간도를 청 제국 영토로 인정하는 것을 체결한 조약은?
간도협약 청일수호조약 다자간조약 전주 화약조약 텐진조약
Q. 1910년 12월 조선 총독부가 한국의 민족 자본과 공업 발전을 억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령은?
회사령 회이령 회삼령 회오령 회육령
Q. 조선 및 대한제국의 민족 운동가이자 기업인, 공무원이며 대구에서 지물 행상과 포목상으로 성공한 인물로, 정부의 검세관이 되어 정부의 조세곡을 관리한 인물은?
서상돈 김홍집 이완용 이상화 이육사
Q.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함께 『조선불교유신론』, 『님의 침묵』, 『흑풍』, 『후회』 등을 저술한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는?
한용운 김소월 이육사 안창호 이지용
Q. 1927년에 조직되었던 광복운동 후원 여성단체는?
근우회 근손실회 근육회 근좌회 근전회
Q. 일제강점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저술한 시인은?
윤동주 이육사 김소월 전봉준 이지용
Q. 장지연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 논설을 써서 을사조약의 굴욕적인 내용을 폭로하고, 일본의 흉계를 통렬히 공박하여 그 사실을 전 국민에게 알린 논설은?
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화 시일야방성대방 시일야방성대림 시일야방성대치
Q. 옛 규범을 근본으로 삼고 점진적으로 서구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광무개혁(光武改革)의 기본 정신은?
구본신참 팔본신참 칠본신참 육본신참 오본신참
Q. 대한제국 시대에 근대적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해 발행된 토 지소유 문서를 증명하는 것은?
지계 공계 수계 토계 사계
Q. 2000년 8월 민간단체인 독도수호대가 고종이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정하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제정한 1900년 10월 25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은?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독도의 날 대마도의 날 거문도의 날 연평도의 날 서귀포의 날
Q. 1919년 홍범도가 사령관이 되어 의병 출신을 중심으로 중국 지린성에서 만든 항일 독립군으로 1920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의 승리에 크게 기여한 단체는?
대한독립군 대한내립근 대한외전근 대한회외근 대한회내근
Q. 1882년 5월 22일 조선의 전권위원 신헌, 김홍집과 미국의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 간에 제물포에서 체결된 조선이 구미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수미 수호 통상 조약 백미 수호 통상 조약 흑미 수호 통상 조약 장미 수호 통상 조약
Q. 통상·항해 조약 등에서 한 나라가 어느 외국에 부여하는 가장 유리한 대우를, 당 조약 상대국에도 부여하는 일은?
최혜국대우 미역국대우 쇠고기국대우 만둣국대우 된장국대우
Q. 갑신정변 실패의 결과로 1885년 4월 18일 청나라 전권 대신 이홍장과 일본 제국 전권 대신 이토 히로부미가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을 위해 한반도 내 양국 주둔군 철수를 주 내용으로 맺은 조약은?
톈진 조약 톈트 조약 톈톈 조약 톈동 조약 톈수이 조약
Q. 1943년 11월 22일~26일 카이로에서 미국의 루스벨트, 영국의 처칠, 중화민국의 장제스 세 연합국 수뇌가 모여서 열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과 아시아의 전후 처리 문제에 관해 협의한 회담은?
카이로 회담 포츠담 회담 얄타회담 모스크바 회담 한양 회담
Q. 1918년 11월 조소앙이 작성하였으며 만주·노령을 중심으로 당시 해외에 나가 있던 저명인사 39명이 한국의 독립을 선포한 선언서는?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독립선언서울 대한독립선언서면 대한독립선언서주 대한독립선언서초
Q. 1920년대 초 우리의 손으로 대학을 설립하고자 일어난 일제하의 문화 운동은?
민립대학설립운동 공립대학설립운동 사립대학설립운동 국립대학설립운동 자립대학설립운동
Q. 1910년대 무단 통치 상징 중의 하나로 공식적인 형벌 제도 안에서 한국인에게 태형(笞刑)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법률은?
조선태형령 조선정형령 조선세형령 조선문형령 조선단형령
Q. 일제강점기의 한국인에 대한 일제의 교육방침과 교육에 관한 법령은?
조선 교육령 조선 교오령 조선 교칠령 조선 교팔령 조선 교구령
Q. 플레이어는 꿈속에서 어떤 소녀가 나온 것을 계기가 돼 벨로스에 오게 된다. 이 소녀의 이름은?
이리스 아세스 조에 유란 지엔디아
Q. 플레이어는 루미너스 시티에 있는 학교로 전학을 가게 된다. 학교의 이름은 무엇인가?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
발할라 사바나 아발론 식물원 요정수
Q.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에서 플레이어는 꿈에서 마나카드를 선물 받는다. 이 카드 이름은 무엇인가?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
앨리스 발키리 세레스 발할라 리링이
Q.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에서 루미너스 시티의 수호자인 '니이'가 전학생에게 회수가 필요하다고 말한 이 카드의 이름은 무엇인가?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텐구 앨리스 리링이 드라콩 다크데빌
Q.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에서 플레이어가 벨로스로 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인사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카드 마스터 시나리오)
엘리 오딘 니이 하린 토르
Q. 흑영 시나리오에서 흑영은 누구의 호위무사인가? (방랑자 시나리오)
기이 용제 아경 지엔디아 공주 럭스
Q. 당시 공주였던 지엔디아 여제는 용제 때문에 마계의 군주에게 제물로 바쳐질 뻔했다. 마계 군주 이름은 무엇인가? (방랑자 시나리오)
럭스 우로보로스 아가슈라 모스 바이스
Q. 당시 용제성의 주인으로, 아들인 태자가 반역을 일으킬까 두려워해 마계 군주 럭스에게 영혼을 팔아 타락한 사람은 누구인가? (방랑자 시나리오)
용제 아경 지엔디아 레이레이 에스텔
Q. 흑영은 지엔디아가 제물이 되는 걸 막기 위해 누구랑 싸웠는가? (방랑자 시나리오)
용제 태자 아경 레이레이 에스텔
Q. 에스텔이 무기를 조사했을 때, 발견된 호랑이 문양은 어느 곳의 상징인가? (방랑자 시나리오)
호랑사 샹그리라 용제성 아르카디아 벚나무 호수가
Q. 지엔디아는 용제 성의 결계를 깬 범인이 어떤 일족이라고 말한다. 이 일족의 이름은 무엇인가? (방랑자 시나리오)
아가슈라 모스 럭스 바이스 우로보로스
Q. 신전의 일원들은 어떤 신의 뜻을 따라 행동하는가? (수도사 시나리오)
세레스 아이작 이리스 마리아 네리아
Q. 신전을 지키던 데미갓과 배틀 로드가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 쳐들어온 부대는 누구의 부대였는가? (수도사 시나리오)
럭스 아가슈라 모스 바이스 우로보로스
Q. 도둑 맞았던 여신 세레스의 기록서가 시스터 시스티나에게 전달되는데, 이 기록서의 이름은 무엇인가? (수도사 시나리오)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
예언의 석판 고대의 마법서 스핑크스의 석판 피라미드의 석판 옅은 어둠이 기록된 마법서
Q. 벨로스로 가기 전 세레스 여신의 마지막 신탁이 있었다. 신탁의 내용은 무엇인가? (수도사 시나리오)
이리스를 찾아 보호하라 네리아를 찾아 보호하라 지엔디아를 찾아 보호하라 아세스를 찾아 보호하라 엘렌을 찾아 보호하라
Q. 벨로스에 도착한 플레이어는 당장 어떤 걸 하고 싶어 하는가? (수도사 시나리오)
복수 평화 수색 공부 게임
Q. 35대 아그니는 사막의 일족과 정령들이 적이었던 어떤 왕국의 편이 된 것을 의심스러워한다. 이 왕국의 이름은 무엇인가? (용병 시나리오)
모스 쥬스 쥬드 럭스 도스
Q. 35대 아그니가 마을을 습격한 자들을 막아내며 플레이어에게 '성지'를 언급하며 도망가라고 한다. 그곳의 이름은 무엇인가?(용병 시나리오)
아그니 비밀 제단 아그니 비밀 동굴 아그니 비밀 지하 아그니 비밀 벙커 아그니 비밀 저택
Q. 아그니 비밀 제단으로 향하는 플레이어를 쫓아오는 이들의 이름은 무엇인가? (용병 시나리오)
모스 왕국 추격대 모스 왕국 헌터 모스 왕국 스토커 모스 왕국 그림자 모스 왕국 팔로워
Q. 플레이어가 아그니 비밀 제단의 끝 통로에서 만난 사람은? (용병 시나리오)
프리스트 아이작 프리스트 네리아 프리스트 미야 프리스트 엘렌 프리스트 마리스
Q. 프리스트 아이작은 플레이어에게 운명을 예비하라는 세레스 여신의 신탁을 받아 플레이어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신탁을 받은 방법은 무엇인가? (용병 시나리오)
음성을 듣고 모스부호를 받고 편지를 받고 전화를 받고 문자를 받고
Q. 용병 캐릭터 시나리오에서 어둠의 성황 바이스가 이끄는 광신도들이 침범한 지역은? (용병 시나리오)
카리온 백작령 카리온 흑작령 카리스 백작령 카리스 흑작령 칼리스 백작령
Q. 플레이어가 실력을 키우고자 만나려고 한 사람은 누구인가? (펜서 시나리오)
검신 지스카드 검제 지스카드 검황 지스카드 검객 지스카드 검신 지스키드
Q. 검신 지스카드는 사막 남부 지역에 어둠의 성황이 이끄는 OOO의 무리들은 수습하려고 자리를 비웠다. OOO는 무엇인가? (펜서 시나리오)
광신도 대군단 검투병 훈련병 노예병
Q. 운명이 찾아올 때 거부하지 말라는 대사를 남긴 NPC의 이름은? (펜서 시나리오)
슈가 밀 유란 진 휴고
Q. 지엔디아의 작은 마을, 그리고 몇 년 전 마왕을 쓰러뜨린 용자의 고향은 어디인가? (펜서 시나리오)
벨로스 베스 엘리아스 엘파 아오이치
Q. 고목나무 숲에서 발견한 두루마리에 묶여있는 꽃의 정령의 이름은 무엇인가?
조에 나 무웬 오로라 미르 하르모니아
Q. 플레이어는 조에와 함께 이리스 파티의 일행인 이 소년을 찾을 때까지 함께 여행하기로 한다. 이 소년은 누구인가?
나 무웬 나는 무웬 나도 무웬 너도 무웬 게네페
Q. 플루톤 신전의 몬스터들이 엘리아스 물품 보관소에 보관되어있던 마법의 활을 훔쳐 간다. 이 활의 이름은 무엇인가? [ 이름이 제일 짧은 것을 누르면 정답 ]